반응형

Front-End 7

[React] 리액트에서 Fragment, Portal, ref 의 역할 (feat. Udemy - React Complete Guide 강의)

1. Fragments에 대해 1-1. JSX에서 root 태그는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 JSX는 HTML과 JavaScript를 하나의 컴포넌트로 만들어 렌더링 시켜주는 문법이라고 할 수 있다.(HTML in JS 라고나 할까..?) JSX 소개 – React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ko.reactjs.org 결국 JSX는 컴파일 되어 JavaScript로 표현이 되는데, 이 때 React.createElement() 호출을 통해서 컴파일이 이루어지게 된다.(참조) JSX 문법을 사용해서 렌더링할 컴포넌트를 return 안에서 호출하고 있기 때문에, return이라는 키워드의 측면에서 생각해본다면 JSX는 단 하나의 root를 가질 수 ..

[개인 프로젝트] Vanilla JS로 To Do List 만들기 (2)

지난 시간에 이어 이번에는 JavaScript 코드 작성에 대한 이야기로 포스팅을 이어보려고 한다. 작성된 코드에 대한 설명이 주된 내용이므로, 관심이 있거나 필요한 부분만 골라서 보면 될 것 같다. (혹시나 포스팅 내용에 오류가 있다면 제발 꼭 좀 알려줬으면 좋겠다..) 1. 뼈대를 완성하자 (HTML 마크업) To Do List 입력 What I Have To Do? COPYRIGHT 2022. JAENY, All rights reserved 가장 집중한 부분은 semantic 태그를 최대한 잘 사용해보자 하는 것이었고, 기본적으로 필요한 태그나 내용을 최대한 빠뜨리지 말자는 것이었다. 아래 내용을 펼쳐서 확인하면, 각 태그 사용에 대한 의도를 간략하게 서술하였다. 태그 내부 더보기 HTML 문자열 ..

[개인 프로젝트] Vanilla JS로 To Do List 만들기 (1)

기본기가 너무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래서 간단하지만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했다. React 없이 JavaScript로만 To Do List를 만드는 것이다. 먼저 개발환경을 세팅해주었다. 폴더를 만들고 README를 생성한 후에, npm init명령어를 통해 package.json을 생성하고 필요한 패키지를 아주 조금 설치해주었다. 다음으로는 src 폴더를 생성해서 index.html ToDoList.js index.scss 를 만들고 기본적인 html 코딩 및 전역 폰트를 설정해주었다. GitHub에서 Repository를 생성한 후에 local에서 git init 이후 git add remote를 통해 연결을 해주었고, 기본적인 세팅과 코딩이후 commit 및 push를 진행하였다. 패키지..

[Restart 프론트엔드 스터디] #1. 자바스크립트의 역사 (출처: poiemaweb)

자바스크립트의 탄생 1995년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에서 정적인 HTML을 동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경량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도입하고자 하면서 브랜던 아이크(Brendan Eich)가 개발한 자바스크립트를 도입하게 되었다. 1996년 3월 처음 "Mocha"라는 이름을 통해 Netscape Navigator2 웹 브라우저에 탑재되었고, 9월에 "LiveScript"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12월에는 "JavaScript"로 명명되었다. 자바스크립트의 파편화와 표준화 1996년에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자바스크립트이 파생 버전인 "JScript"를 IE(인터넷 익스플로러)3.0에 탑재하였는데 JScript와 자바스크립트가 표준화 되지 못한 상태에서 각 브라우저에서만 동작하는 기능들을 경쟁적으로 추가하면서 브라우..

[Restart 프론트엔드 스터디] #3. 시맨틱 웹 (출처: poiemaweb)

Semantic Tag (시맨틱 태그)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자들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검색엔진을 사용한다. 현 시대에서 그만큼 검색엔진에 최적화 된 웹 사이트를 만드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검색엔진 최적화(SEO)를 위해서는 검색엔진이 웹사이트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검색엔진은 로봇이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웹사이트의 HTML 코드를 수집하게 된다. 이 때, 검색엔진은 HTML 코드만으로 그 의미를 인지하여야 하고 HTML 코드 중에서도 의미론적 요소 즉, 시맨틱한 요소(Element)를 해석하게 된다 이 의미론적인 요소를 충족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바로, 시맨틱 태그이다. 아래의 코드 두 줄을 확인해보자. Hello Hello 이 코드를 실행시킨 결과(화면)를..

#2. [솔직회고] 3개월간 인턴(?)근무를 해보았습니다

아직 글 작성 실력이 미숙하여, 두서가 없을 수 있는 점 먼저 양해를 구합니다! 회고의 요약 결론은 맨 아래에 적어두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이 싫으시다면, 3개월의 결론만 확인하셔도 무방합니다) 모든 것이 처음이었습니다. IT회사도, 개발직무도, 서울에 있는 오피스도 한 개도 낯설지 않은 것이 없었고 설레고 즐거움이 가득했던 것 같습니다 사실 아무 능력도 기술도 없는 제가 어떻게 생각하면 그저 말을 잘해서 합격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도, 개인적인 상황상 합격했다는 그 자체가 너무 기쁘고 좋았던 것 같습니다 원티드를 통해서 프론트엔드 직무 지원을 90개 가까이 했었고, 그 중 면접은 두 곳을 보게 되었으나 결국 최종합격은 이 곳 하나 뿐이었습니다 그래서, 더 기뻤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처음 출근을 하던 날 ..

728x90
반응형